🧪 실험 목표
화학 전지를 구성해 기전력을 측정하고, 전해질의 농도와 전지 전위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 실험 원리
✏️ 반쪽전지
반쪽 전지(Half-cell)는 금속과 금속 이온이 포함된 수용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쪽 전지에서 표준 상태란 수용액 속 금속 이온의 농도가 1.0 M일 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순수한 Zn 금속과 1.0 M Zn2+(aq) 수용액은 표준 Zn | Zn2+ 반쪽 전지를 구성한다. 반쪽 전지에서 금속은 전극(electrode)이라고 한다.
✏️ 화학 전지
화학 전지는 두 개의 반쪽 전지가 도선과 염다리로 연결되며 형성된다. 두 전극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산화가 일어나는 산화 전극(anode)에서 환원이 일어나는 환원 전극(cathode)으로 전자가 이동하며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전지의 성능은 전위차에 의존한다. 화학 전지는 (-)극 금속의 산화 반응성이 커서 전자를 쉽게 내놓을수록, (+)극 금속 양이온의 환원 반응성이 커서 전자와 잘 결합할수록 전하의 불균형이 커지며 큰 전압과 전류를 발생한다. 이때 전해질 수용액 중 한 쪽은 양이온이 감소하고 다른 쪽은 증가하며 생기는 전하의 불균형은 염다리(salt bridge)를 설치해 해결할 수 있다.
✏️ 표준 환원 전위
표준 환원 전위(standard reduction potential, E°)는 표준 상태에서 표준 수소 전극을 기준으로 각 반쪽 전지에서 금속의 환원 반응의 전위를 측정한 값이다. 이 값이 양으로 클수록 환원이 잘 일어나고, 이 값이 음으로 클수록 산화가 잘 일어난다. 표준 환원 전위가 클수록 화학 전지의 (+)극이 되기 쉽고, 작을수록 (-)극이 되기 쉽다. 표준 상태에서 전지의 전위(표준 전지 전위, E°cell)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qDHbN/btsuZRFnvf5/hBftGzlqH8K6cxjMltCjVK/img.png)
✏️ 네른스트 식
표준 전지 전위와 표준 깁스 자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전지 반응에 참여하는 화합물이 표준 상태에 있지 않을 때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https://blog.kakaocdn.net/dn/LIEJO/btsuQwB63os/qPkK70GXHqZYdwLhdzNdZ1/img.png)
이처럼 전지의 전압과 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네른스트 식(Nernst Equation)이라 하며, 이를 이용해 표준 조건이 아닌 상태에서의 전지 기전력을 알아낼 수 있다.
🧪 시약 및 기구
1.0 M 황산아연(ZnSO4, Zinc sulfate), 1.0 M 황산구리(CuSO4, Copper sulfate), 구리(Cu)판, 아연(Zn)판 각 4개, 사포, 멀티미터(또는 전압계) 1개, 시험관 8개, 시험관대, 100 mL 부피플라스크 4개, 염다리, 피펫
📌 유의 사항
1) 금속판은 크기가 같은 것으로 준비하고 사용하기 직전 사포로 갈아서 금속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한다.
2) 금속염 수용액은 피부에 자극적일 수 있으니 피부에 닿으면 깨끗한 물로 충분히 씻는다.
🧪 실험 방법
💡 전지의 기전력 측정
1. 시험관 2개를 준비하여 1.0 M CuSO4, 1.0 M ZnSO4 수용액을 각각 담는다.
2. CuSO4 수용액에는 Cu판을, ZnSO4 수용액에는 Zn판을 꽂는다.
3. 서로 다른 금속이 담긴 시험관 두개를 염다리로 연결한다.
4. 각 반쪽전지를 멀티미터에 연결하여 전압(기전력)을 측정한다.
💡 전해질 농도와 전지 전위와의 관계
1. 피펫을 이용해 1.0 M CuSO4 수용액 10 mL를 정확히 취해 10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를 눈금까지 채워 0.1 M CuSO4 수용액을 만든다.
2. 피펫을 이용해 0.1 M CuSO4 수용액 10 mL를 정확히 취해 10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를 눈금까지 채워 0.01 M CuSO4 수용액을 만든다.
3. 피펫을 이용해 0.01 M CuSO4 수용액 10 mL를 정확히 취해 10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를 눈금까지 채워 0.001 M CuSO4 수용액을 만든다.
4. 위에서 만든 CuSO4 수용액을 각각 시험관에 담고, Cu판을 꽂는다.
5. 1.0 M ZnSO4 용액을 3개의 시험관에 담고, Zn 판을 꽂는다.
6. 서로 다른 금속이 담긴 두 시험관을 염다리로 연결한 후, 멀티미터로 전압을 측정한다.
🧪 결과 및 분석
✔️ 전지의 기전력 측정
❓ 표준 환원 전위를 이용해 전지의 기전력을 계산하고, 실험에서 측정한 값과 비교한다.
표준 기전력 = 0.34-(-0.76) = 1.10 V
측정 기전력 = 1.09 V
❓표준 환원 전위를 참고한 전지의 기전력과 측정한 값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표준 환원 전위는 25 ℃로 측정된 값으로 위 실험에서 온도의 영향을 배재하였다.
금속판의 면적이 다르거나, 금속판 산화막으로 인해 전압이 떨어 졌을 것이다.
✔️ 전해질 농도와 전위와의 관계
❓실험에서 얻은 값을 다음 표에 정리한다.
[Cu2+(aq)] (M) | log[Cu2+(aq)] | Ecell(vs Zn l Zn2+ (1.0 M)) (V) |
1.0 | 0 | 1.076 |
0.1 | -1 | 1.075 |
0.01 | -2 | 1.064 |
0.001 | -3 | 1.056 |
❓전해질 농도와 전지 전위와의 관계를 분석하면?
구리 이온(Cu2+)의 농도가 1/10로 감소해도 전지의 전위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구리(Cu)와 아연(Zn)의 전위차는 일정해 동일한 전압을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농도가 낮으면 반응할 수 있는 양이 적어 전지의 용량이 줄어들 것이다.
** 염다리 만드는 방법
1. 비커에 따뜻한 물 60 mL를 담고 질산칼륨(KNO3) 약 15g을 녹인다.
2. 질산 칼륨이 다 녹으면 한천가루 약 5 g을 넣어 천천히 저어준다.
3. 식으며 점성이 생긴 용액을 주사기에 담고 비닐관에 천천히 넣어준다.
4. 비닐관 중간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비닐관에서 약간 굳힌 뒤 사용한다.
'Chemi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한 아스피린 합성 실험 (2) | 2023.09.25 |
---|---|
윌슨의 안개상자 실험(with 방사선 관찰) (0) | 2023.05.23 |
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합성 실험 (0) | 2023.04.11 |
아스코르브산 함량 측정(with 아이오딘 적정법) (0) | 2022.10.13 |
음료 속 카페인 추출 및 확인 (0)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