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초 속의 아세트산 함량 구하기 실험
📚 화학Ⅰ Ⅳ. 역동적인 화학반응 📌성취기준 [12화학 04-04] 중화 적정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식초 속의 아세트산 함량 구하기 🧪 실험 목표 중화 적정을 이용하여 식초 속의 아세트산 농도를 구할 수 있다. 🧪 실험 준비물 수산화나트륨(NaOH), 식초, 증류수, 페놀프탈레인 용액, 부피 플라스크, 삼각플라스크, 비커, 피펫, 피펫 필러, 깔때기, 뷰렛, 뷰렛 집게, 스포이트, 스탠드, 전자저울, 시약 포지, 약숟가락, 점적병, 흰 종이, 실험복, 보안경, 실험용 장갑 🧪 실험 과정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만들기] 수산화나트륨 1 g을 전자저울로 정확히 측정하여 증류수 50 mL가 담긴 비커에 넣고 녹인다. 녹인 용액을 250 m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비커를 2~3회..
화학 반응 양적 관계 실험
🧪 실험 목표 탄산칼슘과 염산의 반응으로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양적 관계를 확인하는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그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실험 준비물 10%(3 M) 염산(HCl(aq)), 탄산칼슘(CaCO3), 증류수, 삼각플라스크, 메스실린더, 부피 플라스크, 비커, 피펫, 피펫 필러, 유리 막대, 깔때기, 탈지면, 온도계, 씻기병, 약 숟가락, 약포지, 계산기, 저울 ✨ 문제 인식 주어진 [제시문]을 읽고 화학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에는 어떤 양적 관계가 성립하는지 생각을 적으시오.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원자는 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으므로 화학반응식을 완성할 때에는 반응물과 생성물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원자 수가 같도록 맞춰준다. 또한, 화학에서 양적 관계는 상대적인 질량으로 나타내는 ..
우유 속 칼슘 정량 분석 실험
우유의 염류는 주로 인산염(phosphate), 구연산염(citrate), 염화물(chloride), 황산염(sulphate), 탄산염(carbonate) 및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의 중탄산염(bicarbonate)들이다. 20여 가지의 다른 미량원소들이 우유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에는 구리, 철, 아연, 그리고 요오드가 포함되어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우유 단백질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하전 된 그룹을 지니고 있고 이 대(對) 이온(counter-ion)들이 염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염류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그렇게 분류되지 않는다. 신선유에서 유산염(lactate)은 존재하진 않지만 저장 중인 우유나 유제품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들 주요 원소는 크게는 카세인(casein)과 같은 ..
비타민C 정량 분석 실험
괴혈병은 비타민C인 아스코르브산 결핍증이다. 괴혈병에서 관찰되는 증상은 ‘전신 피로감, 하품, 호흡곤란, 두통, 메스꺼움, 병비, 우울증, 식욕감퇴, 잦은 혈관 출혈, 잇몸 출혈, 월경불순, 뼈나 관절 통증, 출혈, 창백증 빈혈, 뼈의 완화’ 등이다.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의 저서에고 괴혈병 기록이 있고 십자군 원정대, 신대륙 탐험대, 아프리카 희망봉을 돌아서 정가건 항해를 하던 선원들, 북미에서는 서부 개척자와 남북 전쟁 때, 흉년과 기근 시에 괴혈병 환자가 많았다고 한다. 최근에도 전쟁 및 분쟁 때문에 세워진 아프리카의 다섯 군데의 난민 수용소 인원의 상당수가 괴혈병에 시달렸고 산모 및 노인들이 특히 심하였다. 이런 괴혈병이 신선한 야채나 과일을 섭취함으로써 치료되며 예방된다는 것을 경험..
물의 경도 측정 실험
순수한 물, 즉 증류수는 정확히 중성, 즉 pH 7.0이다. 이 중성 물은 분자 107(즉, 1000만)개 중의 한 개만이 H2O → H+ + OH- 으로 이온화 되어 있고, H+ 수와 OH- 수는 똑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양이온 H+ 는 산성 수소 이온이고, 음이온 OH- 는 염기성, 즉 알칼리 수산 이온이다. pH < 7.0 인 산성물은 pH 7.0인 중성 물과 비교했을 때, H+ 수가 OH- 수보다 더 많은 산성물이고, 반대로 pH인 중성 물과 비교했을 때 OH- 수가 H+ 수보다 더 많은 염기성, 즉 알칼리성 물이다.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기준을 엄밀하게 따져 보면 pH 6.5 ~ 7.0은 산성영역이고, pH 7.10 ~ 8.5는 알칼리성 영역이다. 지나치게 산성이 강한 물도, 지나치게 알칼..